ㅁ /etc/fstab
ㅇ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마운트 설정정보 파일
[파일시스템장치]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종류] [옵션] [덤프] [파일점검옵션]
1. 파일시스템 장치 / 레이블명
2. 마운트 포인트 / 디렉토리명
3. 파일시스템 형식 (ext2, ext3, iso9660, swap ...)
4. 옵션 ([Read Only] or [Read Write])
5. dump => fsck (Y/N)
6. 파일점검옵션 -> 0, 1, 2
ex> /dev/sys /sys sysfs defaults 0 0
/dev/hda3 /users ext3 defaults,usrquota 1 1
#cat /etc/fstab
/파일시스템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 /옵션 /dump /파일점검옵션
[file system device name]
/etc/fstab 의 첫 번째로 설정되는 항목으로 파일시스템의 장치명을 설정한다.
즉, /dev/sda1, /dev/sda2 등과 같은 파일 시스템 장치명의 위치이다. 첫 번째 항목에는
" 파일시스템장치명" 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레이블(Lable)"으로 표시할 수 도 있다.
[mount point]
파일시스템이 마운트 될 위치.
마운트 포인트로서 /etc/fstab 의 두번째 항목이다.
"특정 파일시스템 장치를 어디에 마운트 시킨다." 라고 할 때에 " 어디 " 라는 부분에 해당되는 것이 " 마운트 포인트 " 이다. 디렉토리명이라고 할 수 있다.
[file system type]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설정하는 항목으로 /etc/fstab 의 세 번째 항목이다.
파일시스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ext
초기리눅스에서 사용되었던 파일시스템 타입으로서 현재는 사용하지 않음.
2. ext2
현재도 사용되고 있으며 긴 파일명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3. ext3
저널링파일시스템으로서 ext2에 비해 파일시스템 복구기능과 보안부분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기본 파일시스템 타입으로 사용되고 있다.
4. ext4
ext3 다음버전의 리눅스 표준 파일시스템으로서 16TB까지만 지원하던 ext3 타입보다 훨 씬 더 큰 용량까지 지원하며, 삭제파일복구 기능 및 파일 시스템 점검 속도가 크게 빨라진 파일 시스템이다.
5. iso9660
DVD 또는 CD-ROM 의 데이터를 읽고자 할 때에 마운트시에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으로서 DVD와 CD-ROM 의 표준 파일시스템으로서 Read Only 로 사용.
6. nfs
Network File System 으로서 원격서버를 마운트 할 때 사용함.
7. swap
스왑파일시스템으로서 스왑공간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사용됨.
8. ufs
UNIX File System 으로서 UNIX System 5 계열에서는 표준 파일시스템이다.
9. vfat
Windows 95 / 98 에서 사용, 또는 NTFS 를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10. msdos
MS-DOS 파티션을 사용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11. hpfs
HPFS 에 대한 파일시스템
12. ntfs
Windows NT / 2000 의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13. sysv
UNIX System V 를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14. hfs
Mac 컴퓨터의 hfs 파일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15. ramdisk
RAM 디스크를 지원하는 파일시스템
16. 그외
adfs, autofs, coda, coherent, cramfs, devpts, dfs, jfs, minix, ncpfs, proc, qnx4, reiserfs, romfs, smbfs, tmfs, udf, ufs, umsdos, xenix, xfs 등이 있다.
※ 리눅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하려면 /proc/filesystems 를 보면된다.
[options]
파일시스템을 용도에 맞게 사용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속성을 설정하는 옵션으로 네번째 항목
1. default
rw, nouser, auto, exec,suid 속성을 모두 가지는 속성으로,
가장 일반적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속성이다.
2. auto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된다.
3. exec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4. suid
SetUID 와 SetGID 의 사용을 허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5. ro
읽기 전용(Read Only)으로 파일시스템으로만 사용된다.
6. rw
읽고 쓰기(Read Write) 파일시스템으로 사용된다.
7. user
일반 계정사용자들도 마운트를 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이다.
8. nouser
일반 계정 사용자들은 마운트 할 수 없는 파일시스템으로
오직 root 만이 mount 할 수 있다.
9. noauto
부팅시 자동마운트 되지 않게 한다.
10. noexec
실행파일을 실행되지 못하게 하는 파일시스템
11. nosuid
SetUID 와 SetGID 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 파일시스템
12. usrquota
개별 계정사용자의 Quota 설정이 가능한 파일시스템
13. grpquota
그룹별 Qouta 설정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dump]
/etc/fstab 파일의 다섯번째 항목으로 0 또는 1 값만 가질 수 있다.
1은 데이터 백업등을 위해 dump 가 가능한 파일시스템이다.
0은 dump 명령으로 덤프되지 않는 파일시스템이다.
[file check options]
/etc/fstab 의 여섯번째 항목으로 0 또는 1 그리고 2 값만 사용할 수 있다.
0 은 부팅시 실행되는 fsck 실행되지 않는 설정이다.
1 은 루트파일시스템을 의미한다.
2 는 루트파일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파일시스템을 의미한다.
여기서 설정된 파일시스템의 순서를 기준으로 부팅 시 선행되는 fsck의 순서가 결정된다.
ㅁ Exercise
ㅇ /dev/hda1 /root/33 exe3 defaults 1 2
Q> fstab 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에러상황
상황 1. fstab 파일에 수정오류 발생 된 경우.
A> 보통은 Login Prompt(Console Windows) 까지 가기 때문에 거기에서 복구할 수 있다.
(Repair filesystem) # mount -o remount rw /
(Repair filesystem) # mount -o remount,rw /
# vi /etc/fstab
상황 2. fstab 파일이 삭제되어 boot 가 안되는 경우.
A> 보통은 위의 화면처럼 boot system mount 중에 멈춘다.
하지만 이것은 grup 이 망가진 것은 아니므로 /etc/fstab 만 새로 생성해주면 된다.
=> single mode 로 진입한다.
single mode 진입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조한다.
=> 이 때, 기다리면 single consloe window 가 나오는데 다음을 따라한다.
sh-3.2#fdisk -l [장치(device)명 확인 할 것]
sh-3.2#mount -o remount rw /
sh-3.2#touch /etc/fstab
sh-3.2#vi /etc/fstab
sh-3.2#exit
#mknod /dev/sda2
#chroot/mnt/sysimage /etc/fstab
이것은 임시 방편이므로, 일부 시스템은 비정상적인 운용 환경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정상적인 시스템을 운용하고 싶다면, 다시 부팅 되어 시스템에 접근이 가능하므로
/etc/fstab 의 모든 mount 내용을 전부 재기입 하여 주는 것이 좋다.
시스템 관리자라면,
안정적인 서버 운용을 위해 백업 데이터로 /etc/fstab 덮어 쓰는 것이 현명하다.
상황 3. HDD 추가
[파티션(parted), 포멧, 마운트]
마운트포인트 : /mnt/net5
fstab 에 자동마운트 설정
Q> 재부팅후 자동마운트 되는 상황체크후 추가된 하드디스크 제거
Give root password for maintenance (or type Control - D to continue) :
유지 보수를 하려면 root password 를 입력(Read Only mode)하고,
<CTRL>+<D> 하면 reboot 된다.
현재 상황을 복구 하려면, /dev/hdd1 을 재장착 하거나,
/etc/fstab 의 해당장치의 명령줄을 삭제하면 된다.
Read Only Mode 일때는
(Repair filesystem) 1 #mount -o remount rw /
명령을 사용하여 (Read-Write mode) 로 변환후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학습자료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 systemctl (0) | 2012.09.21 |
---|---|
lsof를 이용하여 공유메모리 를 확인하는 방법[펌] (0) | 2012.09.20 |
리눅스 LVM[펌] (0) | 2012.06.15 |
[펌]리눅스에서 Semaphore 사용시 주의점 (0) | 2012.03.13 |
[링크]Semaphore (0) | 2012.03.13 |